블로그 이미지
[오채원연구소공감]대표 :: 세종이야기꾼 :: 실록연구자 :: 소통 디자이너 :: 010-8014-7726 :: chewonoh@gmail.com 오채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28)
오채원연구소공감 (60)
방송 (18)
실록공감 - 나와 세종을 실록實錄하다 (51)
세종 유통분流通分 (14)
소통 강의노트 (12)
전문강사 포럼 (7)
삶.사람.생각 (20)
실록 읽어주는 여자 (16)
문화 공감 (28)
Total
Today
Yesterday

[ 실록공감 09_조선시대 사약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본편은 글쓴이의 사심에 의해 갑자기 편성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지나간 라디오를 듣는데 <과학으로 보는 사약의 성분과 효과>가 방송되더군요.

조선시대에 임형수林亨秀는 열여덟 사발 그리고 송시열宋時烈은 세 사발의 사약을 마셨다는 주장이 귀에 들어왔습니다.

동시에 어렸을 적 역사 만화에서 본 장면이 가물가물 떠올랐고요.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또 어디까지가 ‘썰’일까요?

『조선왕조실록』 등의 역사 기록에는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팩트 체크’를 시도해 보았습니다.


우선, 사약은 ‘죽을 사死’가 아닌 ‘줄 사賜’ 자를 씁니다(사약=賜藥≠死藥).

단어의 의미 상, ‘사람을 죽이는 약’이 아니라 ’은혜를 베푸는 약‘인 셈이지요.

부모님이 내려주신 목과 사지를 훼손시키지 않고 나름 존엄하게 죄인을 죽게 해주는 것이 임금의 은혜라면 은혜일 수 있겠습니다.

임금이 귀하게 여기는 신하에게 약을 선물하는 일도 ‘사약賜藥’입니다만, 여기에서는 논외로 하겠습니다.


실록에서는 사약과 관련된 몇 가지 용어가 발견됩니다.

_사사賜死 : 죄질이 중한 죄인에게 임금이 독약을 마시게 하여 자결하게 함. (‘죽음을 선물함’이라고 해석하니 조금 아찔합니다만)

_후명後命 : 귀양지에 있는 죄인에게 사약을 내림.

_수명受命 : 후명을 받음, 즉 사약을 받음.

_사명死命 : 자결하라는 명령.


그리고 실록에는 사약을 받을 수 있는 자격, 사약 받을 때의 의식 등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법전인) 《대전大典(경국대전經國大典)》에 당상관堂上官(정3품 이상의 고위 관료) 이상으로, 사형에 해당되는 죄를 범한 자는 사사(賜死)하게 되어 있습니다. (세조실록 9년 5월 20일)


뜰 아래로 내려가 북쪽(임금이 계신 곳)을 향하여 네 번 절하였다. 그 후 전지傳旨(임금의 말씀)를 들은 뒤 또 네 번 절하고 드디어 사명死命을 받았다. (경종실록 2년 4월 18일)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유엄柳渰이 사사賜死의 명을 가지고 이르니, 조광조趙光祖가 유엄에게 가서 ‘나는 참으로 죄인이오.’하고 땅에 앉아서 묻기를 ‘사사의 명령만 있고 글은 없소?’ 하매, 유엄이 글을 적은 쪽지를 보이니, 조광조가 ‘내가 전에 대부大夫(고위직) 줄에 있었는데, 어찌 겨우 쪽지만 도사에게 부쳐서 증빙으로 삼아 죽이게 하겠소? 당신의 말이 아니었다면 믿을 수 없을 뻔하였소.’ 하였다. -중략- 조광조는 임금이 모르는 일인데 조광조를 미워하는 자가 중간에서 마음대로 만든 일이 아닌가 의심한 것이다. 따라서 누가 정승이 되었고 심정沈貞이 지금 어느 벼슬에 있는가를 물으매 유엄이 사실대로 말하니, 조광조가 ‘그렇다면 내 죽음은 틀림없소.’ 하였다. 아마도 자기를 미워하는 사람이 다 당로에 있으므로 틀림없이 죽일 것이라는 뜻이겠다. -중략- 조광조가 웃으며 ‘죽으라는 명이 계신데도 한참 동안 지체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 아니겠소? 그러나 오늘 안으로만 죽으면 되지 않겠소? 내가 글을 써서 집에 보내려 하며 분부해서 조처할 일도 있으니, 처치가 끝나고 나서 죽는 것이 어떻겠소?’ 하기에 유엄이 허락하였다. 조광조가 곧 들어가 조용히 뜻을 죄다 글에 썼는데 ‘임금을 어버이처럼 사랑하였고, 나라를 내 집처럼 근심하였네. 해가 아래 세상을 굽어보니, 충정을 밝게 비추리.’ 하였다. 또 거느린 사람들에게 ‘내가 죽거든 관을 얇게 만들고 두껍게 하지 말라. 먼 길을 가기 어렵다.’ 하였다. 자주 창문 틈으로 밖을 엿보았는데, 아마도 형편을 살폈을 것이다. 글을 쓰고 분부하는 일을 끝내고, (사약을 받고도 바로 죽지 못하여) 거듭 내려서 독하게 만든 술을 가져다가 많이 마시고 죽으니,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이 다 눈물을 흘렸다. (중종실록 14년 12월 16일)


위에서 본 것처럼, 조광조는 임금께 드리는 시까지 쓰고 사약을 받았으니 문학적인 죽음이라고 할까요?

이어서 임형수와 송시열이 과연 사약을 몇 사발 받았는지도 찾아보았습니다.

그러나 실록은 물론이고 승정원일기, 공사견문록, 고문진보, 통문관리, 사마방목 등 별별 사료를 찾아보았는데도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아쉽지만 그들이 사약을 받던 모습만 아래에 붙입니다.


임형수는 그때 파직되어 집에 있었는데, 죽을 적에 양친에게 하직 인사하고 그 아들을 돌아보며 ‘내가 나쁜 짓을 한 일이 없는데 마침내 이 지경에 이르렀다. 너희들은 과거에 응시하지 말라.’ 하고, 다시 ‘무과일 경우는 응시할 만하면 응시하고 문과는 응시하지 말라.’ 하였는데 조금도 동요하는 표정이 없었다. 약을 들고 마시려 하다가 의금부 서리를 보고 웃으며 말하기를 ‘그대도 한 잔 마시겠는가?’ 하였다. 어떤 이가 집 안에 들어가서 죽는 것이 좋겠다고 하니, 임형수는 ‘나는 마땅히 천지의 신기神祗가 둘러서서 환히 보는 데서 죽을 것이다. 어찌 음침한 곳에 가서 죽겠는가.’ 하고, 드디어 약을 마시고 죽었는데, 듣는 이들이 슬퍼하였다. (명종실록 2년 9월 21일)


이때 송시열이 제주濟州에서 강제 구인되어 (서울로) 돌아오는데 바다를 건너와서 중궁中宮(인현왕후)을 이미 폐비한 것과 오두인吳斗寅·박태보朴泰輔가 간언하다가 죽은 것을 듣고는 식음을 전폐하였다. (서울로 압송되어 가던 중) 정읍井邑에 이르러 사사賜死의 명을 받자, 유소遺疏(죽을 때 임금께 올리던 상소) 두 본本을 써서 손자 송주석宋疇錫에게 주어 다른 날을 기다려 올리게 하였다. 또 훈계하는 말을 써서 여러 자손에게 남겼다. -중략- "내가 병이 심하여 잠시를 기다릴 수 없으니, 명을 받는 것을 늦출 수 없다." 하고는 드디어 조용히 죽음에 나아가니, 이때 나이가 83세이다. (숙종실록 15년 6월 3일)


2차 자료들을 보니, 『유분록幽憤錄(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에는 임형수가 사약을 열여섯 사발 마시고도 멀쩡하여 두 사발을 추가로 마셨는데도 죽지 않았다는 해프닝이 기록되어 있다는데,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혹시 신빙성 있는 기록을 발견한 분이 계시다면 신고 부탁드립니다.

(이로써 팩트 체크는 반 토막 내지 2/3 토막 정도 되겠습니다.)


* 참고문헌 :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tbs교통방송, 2017-07-05, ≪김어준의 뉴스공장≫, <과학 같은 소리하네> 코너.

( https://www.youtube.com/watch?v=lL3zw4Qcvro )


#명종 #숙종 #조선왕조실록 #송시열 #임형수 #세종이야기꾼 #역사이야기 #역덕 #실록공감 #나와_세종을_실록實錄하다 #유튜브 #사약 #사약은_임금이_내리는_약 #사약은_임금의_은혜 #과학으로_보는_사약의_성분과_효과 #과학_같은_소리하네 #김어준의_뉴스공장 #존엄사 #팩트체크


(사진 : 전래놀이 승경도陞卿圖 놀이판)


Posted by 오채원
, |

[ 실록공감 04_세종과 더위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지난 5월부터 ‘덥다’는 말이 절로 나오는 나날이 이어지더니, 오늘은 급기야 ‘폭염주의보’가 발령됐다는 ‘긴급재난문자’까지 받았습니다.
재난 수준의 더위를 세종은 어떻게 해결하셨을까요?


때는 바야흐로 52세 되던 해의 여름.
세종이 “전에는 더위를 무서워하지 않았는데, 몇 년 전부터 더위가 들기 시작했다”고 고백합니다.
아마 ‘걸어 다니는 종합병원’ 상태에서도 훈민정음 창제와 그 후속 작업들에 매진하며 체력이 고갈되셨을 듯합니다.
그러니 더위 무서운 줄 모르고 살던 분이 ‘요즘 들어 나도 더위를 먹더라’고 말씀하셨겠지요.


“손으로 물장난을 했더니 더운 기운이 저절로 풀렸다.”
참으로 소박하게, 세종은 더위 탈출법으로 해수욕도 뱃놀이도 냉수마찰도 아닌, 물에 손 담그기가 최고라고 추천합니다.
이마저도 혼자 즐기기 미안하셨는지, 가장 열악한 환경에 있는 사람들을 떠올립니다.
“죄수가 감옥에 있으면, 더위가 들기 쉬워 간혹 생명을 잃는 수가 있으니, 참으로 불쌍한 일이다.”


세종은 입으로만 불쌍히 여기는 것이 아니라 즉각 행동으로 옮깁니다.
“더운 때가 되면, 동이에 물을 담아 감옥에 놓고 자주 물을 갈아서, 죄수에게 간혹 손을 씻게 하여, 더위 먹지 않게 하는 것이 어떠한가?” 
죄수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복지정책을 제안하고는 이것이 상시 운영되도록 법제화하고자 합니다.
“예전에 이 법이 있었는지 상고하여 아뢰라”고 집현전에 하명하시지요. (세종실록 30년 7월 2일)


그리고는 그 다음 달에 현재의 시도지사에 해당하는 각도의 감사들에게 명을 내립니다.
“1. 매년 (음력) 4월부터 8월까지는 감옥에 새로 냉수를 길어다가 자주자주 바꿔 놓을 것.
1. 5월에서 7월 10일까지는 한 차례 희망자에게 몸을 씻게 할 것.
1. 매월 한 차례 희망자에게 머리를 감게 할 것.
1. 10월부터 정월까지는 감옥 안에 짚을 두텁게 깔아 보온에 힘쓸 것.
1. 목욕할 때에는 관리와 옥졸이 직접 검찰하여 도망하는 것을 막을 것." (세종실록 30년 8월 25일)


7월 7일은 소서小暑, 즉 ‘작은 더위’라 불리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때입니다.
장마 뒤의 후텁지근함이 불쾌지수를 높이는 이런 때일수록, 나와 만나는 이에게 싱긋 웃음을 보여줄 수 있는 여유, 그리고 나보다 형편이 어려운 이웃에게 ‘시원한 온정’을 보내는 배려를 보이면 어떨는지요?
‘내가 이렇게 더운데 다른 사람들은 괜찮을까?’ 염려하던, 나의 고통을 미루어 남을 배려하는 세종의 마음을 떠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참고문헌 :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뉴시스, 2017-06-14, 「‘빨리 온 무더위' 노인 등 취약계층 폭염 비상」. 
3. 민중의소리, 2017-07-05, 「초복, 30도 넘는 무더위...대체 어떤 날이길래?」. 
4. 브레이크뉴스, 2017-06-23, 「경기도, 무더위 쉼터 6천여 개 운영…취약계층 ‘집중 케어’」. 
5. 시민일보, 2017-06-29, 「중랑구 면목3·8동 주민센터, 7·8월 무더위 취약계층 얼음물 제공」. 
6. KBS뉴스, 2017-06-20, 「때 이른 무더위…여름이 두려운 쪽방촌」.


(사진 : 민중의소리)


Posted by 오채원
, |

[ 실록공감 03_세종과 윤대輪對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20년 이래로 이와 같은 가뭄은 보지 못했다”고 한탄할 정도로, 세종이 재위한 지 7년째 되던 해에는 한재가 극심했습니다(세종실록 7년 7월 7일). 이에 세종은 “죄는 실로 나에게 있다” 며 책임을 자신에게 돌립니다. 전통시대에는 하늘이 가뭄・홍수・혜성 등의 이상 기후・천문 현상을 통해 위정자를 견책한다고 여겼으며, 위정자는 이를 잘못을 바로잡을 기회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세종은 자신 혹은 법령의 잘못됨, 민생의 괴로움을 숨김없이 말하여, “나의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근심하는 지극한 심정에 도움이 되게 하라”는 왕명을 내립니다(세종실록 7년 6월 20일).


그러자 3일 후, 110명 이상이 제안한 스물세 가지 개선책이 보고됩니다. 그 중 하나는 ‘윤대輪對’라는 왕에 대한 신하의 일대일 대면 보고였습니다. “4품 이상의 관료들에게 매일 차례대로 왕에게 대답하게 하여 언로言路를 더욱 넓히고, 아랫사람이 자신의 심정을 다 아뢰는 과정을 통해, 신하들의 그릇되고 올바름을 살피시라”는 주문이었습니다. 
신료들이 다 모인 조회朝會와 같은 공식 석상에서는 말하기 힘들겠지만, 왕과 둘만 남게 되면 허심탄회하게 속사정을 표현할 수 있겠지요. 또한 고위직뿐 아니라, 중간급 직위의 신하와도 소통함으로써 그의 사람 됨됨이를 파악하면, 그 다스림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백성들에게 도움이 될 터입니다.
윤대를 실시하자는 제안을 세종은 즉각 수용합니다. “동반東班(문관)은 4품 이상, 서반西班(무관)은 2품 이상이 매일 들어와서 대답하게 하라”고 지시를 내립니다(세종실록 7년 6월 23일).


윤대에 임한 신료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합니다. 경창부慶昌府 소윤少尹(정4품, 궁궐 내 업무 관리) 고약해高若海는 윤대에 들어 아뢴 일이 무려 50여 조목이나 될 정도였습니다(세종실록 7년 7월 15일). 
윤대에서 제출된 제안은 국정 운영에 적극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성균관에 온돌과 목욕탕을 설치하고, 항상 의사를 보내 학생을 치료하도록 조치를 취하는데, 이는 그 이틀 전의 윤대에서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정3품, 현재의 서울대총장) 황현黃鉉이 학생들이 습질濕疾에 걸리는 일이 많다고 보고한 바에 따른 것이었습니다(세종실록 7년 7월 19일).


최근 타인의 의견을 전면 배격한 국가 지도자의 발언이 보도되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몇 달 전인 당선자 시절에, 자신이 "똑똑한 사람"이므로 “같은 내용을 같은 단어로 매일 들을 필요가 없다”며 국정 브리핑의 불필요함을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정보마저 ‘고립주의’를 내세우던 그였건만, 대통령 취임 후 거의 매일 정보기관의 대면 보고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그가 그래픽・표・사진 등 “이미지화된 정보 브리핑을 선호하는 탓에 정보의 민감성과 정보 수집 과정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윤대라는 민감성 높은 소통을 통해 신료와 유대를 형성하고, ‘민생의 괴로움[民生之疾苦]’을 해결하고자 했던 세종, 그리고 그와 정반대 지점에 서 있는 트럼프의 사례를 우리의 위정자들은 참조하길 바랍니다. 그래서 ‘십상시十常侍’나 ‘문고리 3인방’과 같은 특정 소수 세력이 국정을 농단하는 사태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기를, 아울러 국민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정치가 행해지기를 바랍니다.


* 참고 문헌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조선일보, 2017-05-31, 「트럼프, 정보기관 대면보고 매일 받아… 킬러 그래픽 이용한 브리핑 좋아해」.
3. SBS 뉴스, 2016-12-12, 「일일 브리핑 필요 없단 트럼프, "난 똑똑해…같은 단어·같은 내용"」.


(사진 : 뉴시스, 2017-06-23)


Posted by 오채원
, |

[ 실록공감 01_세종의 지방수령 면담 ]


------------------------------------------------------------------
[共享生生之樂, 세종실록 24년 1월 7일]
세종과 더불어, ‘나와 다른 당신’과 공감하고 싶습니다.

------------------------------------------------------------------


세종이 백성을 구휼하는 방법에 대해 질문하자, 변계량卞季良은 관리의 “사람됨을 잘 알고 쓰는 것”이 제일이라고 대답합니다. 정초鄭招는 “새로 임명된 수령은 전하께서 반드시 직접 면담하시와, 어질고 어질지 못한 것을 살피신 다음에 부임케 하면 수령으로서도 적격자를 얻을 것이며, 백성도 진실한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그 방법을 제시합니다(세종실록 1년 1월 30일). 


실제로 그 후부터 세종은 발령지로 내려가기 전의 지방 수령을 직접 면대하여 “수령은 임금의 근심하는 마음을 나누어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니, 그 임무가 지극히 중대하다. 그대들은 나의 마음에 부응하여 백성을 어루만지고 폐해를 제거하는 데 힘쓰라”며 ‘협치’를 당부합니다(세종실록 7년 12월 7일). 또한 이미 근무 중인 수령에게서는 해당 지역의 현황에 대해 보고를 받기도 합니다. 


그렇게 만 6년간 시행해오던 어느 날, 세종은 고위직뿐 아니라 하위직 수령에게까지 면담을 확대하겠다고 이야기합니다. “이전에는 2품 이상인 (고위직의) 수령만을 접견하였으나, 내가 자세히 생각하여 보니, 시골의 먼 곳을 내가 친히 가서 다스리지 못하고 어진 관리를 선택하여 나의 근심을 나누어 보내는 것이니, 그 임무가 가볍지 않다. 그런 까닭에 2품 이하의 수령도 친히 보고 보내도록 하겠다”는 말씀이지요(세종실록 7년 12월 10일). 이렇게 세종은 중앙 정부와 지방간의 소통을 정례화・법제화・정책화 하여, 민생에 가까운 정치를 실행하고자 노력합니다.


오늘(6/14) 신문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시도지사 간담회를 열었다는 소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도지사들은 각 지역의 현안을 공유하며 그 해결책을 구하는 한편, 국정 운영에 협조할 의사를 피력했다고 합니다. 이에 문 대통령은 강력한 지방분권제를 약속하고, 더 나아가, 시도지사 간담회를 일회성 행사가 아닌 정례화하고, 향후 개헌을 거쳐 제2국무회의로 제도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혔습니다.
어딘가에서 많이 본 모습 아닌가요? 어릴 적 꿈이 역사학자였다는 문 대통령께서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세종처럼 소통하는 정치를 이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뉴스핌, 2017-06-14, 「문 대통령 "시·도지사 간담회 정례화…제2국무회의 예비모임"」.
3. 연합뉴스, 2017-06-14, 「이시종지사, 오송3산단 조성 지원 등 대통령에 건의」.
4. 이데일리, 2017-06-14, 「최문순 강원도지사, 文대통령에 “돈·권력, 분산시켜 달라”」.

(사진 : 뉴스핌)

Posted by 오채원
, |